제 2 회

디지털 대전환 컨퍼런스 부산 2023

DIGITAL TRANSFORMATION CONFERENCE BUSAN 2023

디지털 대전환 컨퍼런스 부산 2023

지자체‧산업계‧학계간 소통으로 디지털 대전환 시대에 국제표준으로 글로벌 환경과 제도에 대한 선제적 대응 및 신성장 동력 기반 혁신성장산업 창출을 위한 전략과 기술을 소개

  • 탄소중립과 순환경제
  • EU 디지털 상품 여권법, 배터리 여권법 등 글로벌 규제 대응을 위한 기술 및 전략
  • 해운•항만•조선 산업 표준화 기술 및 글로벌 경쟁력 강화
  • 해양 환경 및 자원 보전과 안전한 수산물 공급을 위한 규정 및 기술
  • 아시아 핵심 국가의 사물인터넷, 데이터 트랜스포메이션 정책 및 기술 동향
  • 장 소 부산 동서대 센텀캠퍼스 B1 컨벤션홀
  • 일 자 & 시 간 23.11.16(목) 10:00 - 17:30
  • 발 표 자 산학연관 전문가 14명
  • 좌 석 200명

디지털 대전환 컨퍼런스 부산 KEY POINT


탄소중립, 순환경제

EU 탄소중립, 순환경제를 통한 국제사회의 기후변화의 대응 및 자원의 절약 및 재활용을 통해 지속가능성을 추구하는 친환경 경제에 대해 소개합니다.

01

EU 디지털상품여권법

순환경제를 구축하고 지속가능한 경제로 전환하고자하는 EU의 구체적인 법안을 통해 배터리, 자동차, 플라스틱, 의류 등 산업 전반의 대응하기 위한 전략과 기술을 공유합니다.

02

스마트해양수산

'스마트 해양수산 선도국가 도약'이라는 국가적 비전을 바탕으로 자율운항선박, 스마트수산, 수산물 안전먹거리 등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해양수산 전략에 대해 소개합니다.

03

사물인터넷

사물인터넷의 발전은 탄소배출, 순환경제와 같은 제품의 높은 개구성, 효율성, 재활용을 통해 자원이 경제 시스템 내에 오래 머물도록 하는 핵심 요소로 이를 활용하기 위한 전략과 기술을 공유합니다.

04

오픈소스

탄소중립, 순환경제에 필요한 에코시스템을 소개하고 이를 구현하기 위한 생태계 전반의 표준, 규약을 동반한 오픈소스 생태계를 소개합니다.

05

산학연관 전문가 발표

산업 전반에 직접적인 경험과 전문화된 지식을 기반으로 앞으로 탄소중립/순환경제, 해양/항만/조선 산업, 해양 수산물 안전 먹거리 등 산업에 대응할 수 있는 기술과 전략을 공유합니다.

06
14

발표자

200

좌석

12

스폰서

6

키노트/세션

컨퍼런스 일정표

세션 1 : 탄소중입과 EU 디지털 상품 여권법
세션 2 : 국제표준으로 엮는 해운항만조선 산업 생태계
세션 3 : 해양 보호와 안전한 수산물 생산•공급•소비
세션 4 : 스폐셜 세션, 아시아 지역 사물인터넷/디지털전환 기술 개발 및 동향

* 강연 클릭 시 발표 요약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10:10-10:40 (30) 키노트 1

코로나(COVID-19) 팬데믹, 미중갈등,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글로벌 공급망 리스크가 이슈가 되며 세계교역의 지각변동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특히 EU와 북미 중심의 강도 높은 ESG 규제들이 발효되며 국내 기업의 국제 무역에도 파급력 있는 무역장벽으로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파악 됩니다. 특히 중소 제조기업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중요도와 시급성에 따라 대응할 필요성을 절실히 느끼고 있습니다. 우리는 이러한 급변하는 세계 환경 속에서 ESG 관련 주요 규제사항의 영향을 평가하고 디지털 혁신을 통한 탄소중립과 순환경제 전환으로의 방향성에 대해 함께 논의해 보고자 합니다.

주요 경력 : 現 SK네트웍스서비스 5G특화망서비스 담당, 現 산업통상자원부 ESG공급망실사 심사위원, 現 중소벤처기업부,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평가위원,
10:40-11:00 (20) 세션 1-1

2050 탄소중립사회 구현이라는 장기적으로 설정된 비전과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다양한 정책적 수단이 도입되는 가운데, 폐기물관리(자원순환) 정책도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을 위한 한 축으로 설계되고 있습니다. 이에 부산광역시 자원순환(폐기물관리)정책(자원순환산업 포함)의 핵심 프로젝트, 관련 최근의 아젠다, 정책적 주요 동향 등을 소개하고, 2050 탄소중립사회 구현과 디지털 대전환 시대와 연계되는 정책적 과제 등을 모색합니다.

주요 경력 : 現 (재)부산연구원 환경안전연구실 선임연구위원/부산광역시 해양환경관리위원회 위원/부산환경공단 ESG 경영혁신자문위원회 위원, 前 센터장 부산광역시 탄소중립지원센터/부산지역 경제교육센터, (재)경기연구원 책임연구원
11:00-11:20 (20) 세션 1-2

유럽연합(EU)이 순환경제를 실현하기 위한 방법으로 ‘디지털 제품 여권법(Digital product passport)’을 추진 중입니다. 디지털 제품 여권법은 상품 제조 과정에서 사용되는 모든 재료와 부품의 정보를 전자 표식에 담는 제도로 환경 유해제품 금지나 친환경적인 제품 사용을 권장할 뿐 아니라 경제 전반의 체질을 새롭게 설계 및 재편하는 것을 목적으로 자원의 투입, 생산, 사용을 거쳐 폐기에 이르는 기존 선형 경제 모델을 재활용이 포함된 순환경제로 전환하기 위해 생산 단계 전반의 규제입니다. 2024년부터 순차적으로 의류/신발, 배터리, 플라스틱, 전자제품, 건설 등 산업에 적용 될 ‘디지털 제품 여권법(Digital product passport)’에 대한 대응 전략과 이를 위한 기술에 대해 소개합니다.

11:20-11:40 (20) 세션 1-3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자동차 산업은 다양한 공급망 문제와 원자재 재활용 문제에 직면하게 되었습니다. 특히 자동차 산업은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공급망의 효율성 향상, 전기차 활성화, 자원의 재활용 등 다양한 대응책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자동차 산업의 디지털상품여권법(배터리여권법)의 플랫폼, 표준화 및 산업 동향을 소개합니다.

주요 경력 : 現 책임연구원, ㈜인타운
11:40-12:00 (20) 세션 1-4

디지털제품여권은 제품의 생애주기의 다양한 정보를 기록한 디지털 인증서로 제품의 재사용 및 재활용을 촉진해 순환경제 전환을 촉진할 수 있는 기술로 관임을 끌고 있습니다. 특히 지속가능한 플라스틱 제품을 구현하기 위한 플라스틱 순환경제 여권법도 화두가 되고 있습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인공지능 기반 재활용 플라스틱을 인식 및 인식된 재활용 플라스틱을 종류별로 선별하는 로봇자동화 시스템을 소개하고, 각 지역에 있는 재활용 선별장에서 유입되는 폐기물 중 PET, PP, PE(HDPE, LDPE), PS, Palm PET 등 7종의 재활용 플라스틱을 분류하는 인공지능 딥러닝 기술과 비정형 재활용 제품을 안정적으로 피킹하는 로봇 및 툴 기술을 소개합니다

주요 경력 : 現 부산대학교 컴퓨터정보통신연구소 기금교수, 現 (주)오토파워 대표, 現 (주)로보원 대표
13:30-14:00 (30) 키노트 2

기후 위기에 따른 탄소중립 추진 국제동향 및 해양수산 여건, 국제해운에서의 탈탄소 추진동향 및 IMO 정책 여건, 수산업에서의 탄소중립 정책 동향, 미국, EU 등 주요국의 탈탄소 정책 동향 소개, 탈탄소를 위한 해양수산분야 주요 정책 방향 및 해양수산분야 디지털 정책 방향 등을 소개합니다.

주요 경력 : 前 해양수산부 차관, 前 해양수산부 해양정책실장/대변인/해양환경정책관, 前 외교부 주영국대사관 해양관(IMO 담당)
14:10-14:35 (25) 세션 2-1

2021년부터 범 산업계 차원에서 추진되고 있는 BlueOne 프로젝트의 현재까지 진행 사항 및 미래에 추진할 내용에 대한 설명을 합니다. 현재 BlueOne 프로젝트는 선박의 데이터에 대한 표준화를 필두로 하여 조선·해운·항만·물류등이 함께 활용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 발전을 준비 및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번 세션에서 BlueOne 현재까지 개발된 사항, 관련 표준 그리고 추후 진행할 해운·항만·물류에 대한 연계 플랫폼에 대한 내용을 공유하고 함께 협력할 내용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주요 경력 : 現 SW사업단장 울산정보산업진흥원, 現 대외협력위원장 스마트십 플랫폼 공동 구축 추진단, 前 ICT연구팀장 한국조선해양, 前 정보통신기술팀장 현대중공업
14:35-15:00 (25) 세션 2-2

항만의 디지털 전환을 위한 빅데이터는 어디에 존재합니까? 어떻게 해야 그것을 효율적으로 수집될 수 있습니까?
TIC4.0 표준에 대한 소개를 통해 항만터미널이 어떻게 빅데이터를 생성하고 수집하며 가상 터미널 세계를 구축해 갈 수 있는지를 보여 줍니다. TIC4.0 표준은 효율적이며 안전하며 미래 예측가능한 디지털 터미널 구현을 위해 유럽/싱가폴PSA 등 글로벌터미널운영사들과 굴지의 글로벌항만장비/솔루션공급자들이 합의한 항만산업의 공통 언어입니다.

주요 경력 : 現 (사)해운항만물류정보협회 서울지회장, 前 ㈜케이엘에스티아이 공동대표이사, 前 ㈜케이엘넷 전자물류사업본부장, 前 ㈜화련해운 북방사업팀장
15:10-15:35 (25) 세션 3-1

MSC는 해양환경 보호 및 지속 가능한 어업을 위해 국제 비영리 기구로 설립되었습니다. MSC는 어업 개선 프로젝트, 소비자 교육 캠페인, 어업 및 수산가공 기업 참여를 촉진하며, MSC 프로그램은 어업, 유통 및 해조류에 대한 인증을 통해 지속 가능성을 증명하고 있습니다. 한국에서는 12개 어업 및 114개 유통·가공기업이 MSC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주요 경력 : 現 한국대표 MSC 해양관리협의회, 現 겸임교수 부경대학교 해양수산경영경제학부, 前 사업전담교수 부경대학교 기술경영대학원, 前 컨설턴트 MSC 해양관리협의회
15:35-16:00 (25) 세션 3-2

No Code 기반의 글로벌 표준을 적용한 차세대 Intelligent suite SCM Builder for Seafood Traceability.-KFT(Korea Food Trust)
식품기업은 지구 온난화와 식품 브랜드 도용에 따른 식품 변질과 사기에 대한 도전에 직면하고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사전적 예방조치와 투명성을 향상시키는 공급망 추적 관리가 필요합니다. 미국 FDA는 FSMA 식품현대화법을 통해 미국으로 수출되는 식품에 대한 공급망 전주기 이력 추적을 요구하고 있으며, 일본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이후 일본과 한국 수산물의 식별과 관리에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습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No Code 기반의 차세대 추적 시스템을 제공하는 KFT 디지털 공급망 빌더를 소개하고 Seafood Traceability 데모 시연도 진행할 예정입니다.

주요 경력 : 現 국토부 KAIA(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블록체인 자문위원, 現 해수부 KIMST(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블록체인 자문위원, 現 물류신문 콜드체인 인사이트 IT 고문, 現 국가지원을 통한 AI 인공지능 모델 공동 개발 협의체 자문위원
16:10-16:30 (20) 스페셜 세션 4-1

모든 산업에 적용 가능한 광범위한 비지니스 전략인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은 표준화, 데이터 플랫폼, 사물인터넷, 인공지능, 블록체인 등 다양한 기술을 활용하여 기존 비지니스 과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기회를 창출 할 수 있습니다. 디지털전환, 탄소중립, 순환경제등 산업의 당면 과제의 해결을 위해 각 국가별 대표적인 연구기관의 연구개발 사례와 디지털전환에 대비하는 각 국가의 산업 동향을 소개합니다.

16:30-16:50 (20) 스페셜 세션 4-2

모든 산업에 적용 가능한 광범위한 비지니스 전략인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은 표준화, 데이터 플랫폼, 사물인터넷, 인공지능, 블록체인 등 다양한 기술을 활용하여 기존 비지니스 과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기회를 창출 할 수 있습니다. 디지털전환, 탄소중립, 순환경제등 산업의 당면 과제의 해결을 위해 각 국가별 대표적인 연구기관의 연구개발 사례와 디지털전환에 대비하는 각 국가의 산업 동향을 소개합니다.

16:50-17:10 (20) 스페셜 세션 4-3

모든 산업에 적용 가능한 광범위한 비지니스 전략인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은 표준화, 데이터 플랫폼, 사물인터넷, 인공지능, 블록체인 등 다양한 기술을 활용하여 기존 비지니스 과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기회를 창출 할 수 있습니다. 디지털전환, 탄소중립, 순환경제등 산업의 당면 과제의 해결을 위해 각 국가별 대표적인 연구기관의 연구개발 사례와 디지털전환에 대비하는 각 국가의 산업 동향을 소개합니다.

17:10-17:30 (20) 스페셜 세션 4-4

모든 산업에 적용 가능한 광범위한 비지니스 전략인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은 표준화, 데이터 플랫폼, 사물인터넷, 인공지능, 블록체인 등 다양한 기술을 활용하여 기존 비지니스 과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기회를 창출 할 수 있습니다. 디지털전환, 탄소중립, 순환경제등 산업의 당면 과제의 해결을 위해 각 국가별 대표적인 연구기관의 연구개발 사례와 디지털전환에 대비하는 각 국가의 산업 동향을 소개합니다.

주 최

공동 주관

  • 부산 동서대학교 센텀캠퍼스 B1 컨벤션홀
  • +82 51-743-4333
  • manki.jung@gmail.com